Surprise Me!

[취재N팩트] 우리 국민 29살부터 '흑자'...58살부터는 '적자' / YTN

2019-01-23 17 Dailymotion

우리 국민은 29살부터 일을 해 번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지만, 58살 이후에는 소비가 많아지는 적자 인생을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이 없거나 부족한 유년층과 노년층은 정부나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아 소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평정 기자! <br /> <br />통계청이 2015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소득과 소비 수준을 집계한 '국민이전계정' 결과를 발표했는데요. <br /> <br />30∼40대 임금과 자영업 소득으로 부지런히 돈을 벌어도 58살 이후에는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은 적자 인생을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통계청 자료를 보면, 우리 국민은 태어나 28살까지는 노동소득보다 소비가 많은 적자 상태로 살다 29∼57살은 소득이 소비를 앞지르는 흑자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마디로 30∼50대까지 비교적 젊은 시절 열심히 돈을 벌어 유년기와 노년기를 먹고 사는 구조인 셈입니다. <br /> <br />0∼28살까지는 적자, 29∼57살 흑자, 58살 이상 적자의 세 단계 구간으로 생애주기별 소득과 소비 그래프를 보이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1인당 노동소득은 2015년 기준으로 43살 때 연 2천896만 원을 기록해 모든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65살은 연간 노동소득이 811만 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소득은 임금소득과 자영자 노동소득을 합친 개념으로 15살부터 점차 상승해 43살에 정점에 달하고 이후 점차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통계에선, 노동연령층인 15∼64살 때 돈을 벌어 유년층과 노년층의 소비를 유지하는 것이 수치로 나타났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5년 기준으로 직업이 없어 노동소득이 없는 0∼14살 유년층은 소비로만 118조 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65살 이상 노년층 역시 81조 6,000 천억 원의 적자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15∼64살 노동연령층은 87조 원의 흑자를 기록하면 소득이 소비보다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이 없거나 부족한 노년층은 정부나 부모로부터 소득을 지원받아 소비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15∼64살이 낸 세금 가운데 잉여액 106조 원을 정부 재정을 통해 14세 이하에 57조 원, 노년층에 49조 원이 배분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유년층은 주로 교육과 보건 부문으로, 노년층은 보건과 연금 부문으로 정부 재정이 이전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년층과 노년층은 정부 재정과 함께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 등 민간 이전을 통해서도 소비를 유지했습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12312034025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